역량 | 강의명 | 시수 | 주요내용 |
교육과정 역량 (8h) | 교원연수 강의 설계안 작성 | 3 | 학교로 찾아가는 연수 운영을 위한 강의 설계안(자료) 초안 작성 제출 |
글로벌 인재 양성을 위한 경기 미래교육 | 1 | 2025 경기 미래교육의 방향 국제교육(국제교류, IB, 다문화, 언어) 정책 글로벌 교육을 위한 교원 전문성 신장 |
2022교육과정과 AIDT 활용 방안⑤ | 2 | 2022 개정 교육과정 실현을 위한 AIDT 수업설계 |
디지털 기반 국제교육을 위한 강의안 및 자료 개발 | 2 | 찾아가는 교원연수 운영을 위한 자료 개발 및 공유 |
소통 및 협력 역량 (4h) | 효과적 강의 설계 및 전달 전략 | 2 | 교원 대상 강의 설계 전략 효과적인 강의, 참여형 실습 운영과 스피치 전략 |
에듀테크 활용 국제교육 토의 토론 | 2 | 소그룹 분과별 멘토 강사 매칭 국제교육(국제교류, IB, 다문화·언어)과 디지털 도구 연계 방안 논의 |
변화 대응 역량 (11h) | 국제교육을 위한 온라인 프로젝트와 AI·디지털 도구 이해 | 6 | 선택 3 | 재외 한국학교 한국어 교육 효과 제고를 위한 에듀테크 활용 |
구글 워크플레이스 활용 온라인 협력학습 설계(국내, 국외) |
생성형 AI를 활용한 수업 및 평가 설계 |
생산성도구로 협동수업 설계(Canva) |
AIDT기반 맞춤형 수업 설계 |
디지털 기반 국제교육 강의 모듈 개발 | 5 | 디지털 역량강화 독서 활동 디지털 활용 강의 모듈 개발 |
국제교류 분과 | IB 분과 | 다문화·언어 분과 |
교육생태계 활용 역량 (2h) | 선도교사 네트워크 구성 | 2 | 국제교육 분과별(국제교류, IB, 다문화·언어) 선도교사 네트워크 구성 온라인 강의자료 공유 플랫폼 구축 선도교사단 운영 계획 수립 |
교직전문성 개발 역량 (5h) | 찾아가는 연수 시연 및 피드백 | 2 | 강의설계안 및 자료 나눔 및 공유 찾아가는 교원연수 시연 및 피드백 |
찾아가는 연수 운영 워크숍 | 3 | 개발 모듈 공유 및 수정(분과별 진행) 모듈별 디지털도구 활용가이드 제작 찾아가는 연수 운영을 위한 강의안 수정 및 향후 계획 수립 |
합계 | 30 | |